서울시는 6일 1970년대 아파트지구로 지정됐던 ‘압구정 아파트지구’에 대한 관리방안을 기존 개발기본계획(정비계획)에서 지구단위계획으로 전환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파트지구 개발기본계획은 단지 재건축을 위한 정비사업중심 계획이다. 반면에 지구단위계획은 주거지역뿐만 아니라 상업지역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시관리 수단이다.
아파트를 대량으로 공급하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아파트지구가 관련법에서 삭제됐고 현행 법령에 맞는 새로운 방식으로 전환했다.
이제는 주변과 연계성이 결여된 개별 단지별 정비가 아니라 주거환경과 교통 여건, 도로 등 기반시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광역적인 도시관리를 꾀한다는 말이다.
압구정 아파트지구는 1965년 한강변 공유수면 일부를 매립해 1976년 현대 1~3차 아파트 준공을 시작으로 강남권 민영아파트 개발을 선도한 서울의 대표 대규모 아파트단지 중 하나다. 현재 약 115만㎡에 걸쳐 24개 단지 1만여 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은 하나의 블록에 학교·교회·병원·시장·극장·도서관 등 생활편의시설을 갖춰 그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근린주구’ 이론에 기반해 계획됐다.
이 때문에 주변지역과 공간적으로 단절되고 도심과 한강변 사이에 장벽을 형성하는 등 도시공간의 유기적 연계 차원에서 여러 문제점이 제기돼왔다. 지은 지 30~40년 이상이 지나면서 건물의 노후화, 주차 문제, 주변지역 교통문제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지역주민들의 재건축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시가 마련한 압구정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의 주요 내용은 △압구정역 역세권 기능 강화 △다양한 공공공간 확보 △디자인 특화 유도 등을 통해 폐쇄형 단지를 가로친화형 단지로 전환하는 것이다.
24개 단지는 6개 재건축 사업단위로 구분되며, 기존 압구정로변 중심시설용지(3개) 등에 대해 특별계획구역 지정을 통한 관리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용적률, 높이, 구역별 공공기여 비율 등은 한강변관리기본계획 등 기존 상위계획의 기준을 준용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주거지역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추진하는 점은 성냥갑 같이 일률적인 아파트를 양산하는 방식을 벗어나 실제 재정비가 추진될 경우 현상설계 등을 거쳐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인 개발이 가능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서울시는 ‘압구정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구역지정 및 계획결정(안)’을 13일 공람공고해 주민의견을 수렴하고, 관련부서 협의 및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 등 관련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