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지역에 소재한 대형교회에 10년 이상 다녔던 K씨(51)는 최근 주일이면 이 교회 저 교회를 떠돌아다니며 예배를 보고 있다. 기존에 다녔던 강남의 대형교회가 담임목사의 각종 비리로 인해 교인들 간 충돌이 일어나 이에 염증을 느끼게 된 것.
담임목사의 비리를 지적하고 교회를 바로 세우려고 나름 노력해봤지만 역부족을 느낀 K씨는 결국 자신이 교회를 떠나고 말았다.
모태신앙인 J씨(48)도 벌써 20년 이상 ‘떠돌이 예배’ 생활을 하고 있다. 직장 관계로 이 도시 저 도시를 다닌 탓도 있지만 J씨가 한 교회에 정착하기 힘든 이유는 목사들의 설교 수준이 만족스럽지 못해서이다.
어려서부터 성경을 많이 읽어 온 J씨가 듣기엔 대다수 목사들의 설교가 성경보다는 정치, 경제 등 사회적 문제의 해설에 치중돼 있었다. 풍부한 사회경험으로 목사보다 더 사회문제를 잘 알고 있던 J씨에게 교회는 단지 기도드리는 장소일 뿐이다.
그나마 K씨와 J씨의 경우는 주일마다 어떤 교회라도 찾고 있는 경우지만 예수를 믿지만 교회를 아예 나가지 않는 교인들이 급증하고 있다.
최근 각 언론에서는 예수를 믿으면서도 교회에 안 나가는 ‘가나안’(거꾸로 읽으면 안 나가) 교인이 늘어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랐다. 이들 대부분은 세속화·대형화로 치닫는 교회의 부패를 지적하며 ‘부끄럽고 창피해서 교회에 안 나간다’고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이 기독교의 근본적 가르침에는 동의하지만 교회들과 신앙현실에 염증을 느끼는 교인들의 ‘탈 교회 현상’이 교계의 큰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교회를 떠나고 있는 교인들의 발걸음을 잡아둘 뚜렷한 묘책은 현재의 기독교계에서는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각 교단이 지난해 발표한 총회보고서 통계자료에 따르면 기독교인 숫자가 눈에 띄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2012년 말 기준으로 예장 통합은 전년 대비 4만 1594명의 교인이 줄었으며 기감은 2만 7811명이 줄어들었다. 기성은 2만 1371명, 기장도 8201명이 줄었다.
주목되는 점은 이렇게 교회를 떠난 이들이 믿음을 저버리지 않고 이를 지키기 위해 외롭게 노력하고 있다는 부분이다. 이는 교회와 목회자의 근본적인 각성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천국 문을 사람들 앞에서 닫고 너희도 들어가지 않고 들어가려 하는 자도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는 성경의 구절처럼 현 시대의 교회가 초림 때의 서기관과 바리새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이렇게 교회를 떠난 교인들은 교회로 돌아갈 만한 이유를 찾지 못한 채 교회 밖에 머무르다가 예수에 대한 믿음이 같은 천주교로 개종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발표된 ‘한국천주교회통계’ 등의 자료에 따르면 천주교 인구가 매년 늘어나고 있는 것은 기독교로부터의 유입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또 이슬람교로의 개종도 최근 늘고 있다. 이슬람교에서는 ‘천주교(가톨릭)’와 ‘기독교’를 형제 종교라 하여 결혼과 교류를 허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결혼 등을 통한 개종이 자연스럽게 이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소수종파로 이동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성경 공부’를 주요 전도 수단으로 세를 확장하고 있는 신천지 교단으로의 교인 유입도 눈에 띄는 현상이다. 특히 신천지 교단이 기성교단으로부터 ‘이단’으로 지목돼 있는 상황에서 신천지로의 교인 이동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고 있다는 점은 교회를 떠난 교인들이 기성교단의 반대와 상관없이 교단을 선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지난 2월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이 발표한 ‘2013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에서 기독교를 신뢰한다는 응답이 19.4%에 그치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4.6%에 이르렀다는 조사가 주목된다.
특히 이 조사에서 종교기관 또는 종교인의 정치적 참여활동에 대해 반대(39.8%) 및 적극 반대(34.8%)가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예수의 가르침과는 동떨어져 세속화, 정치화, 기복적 신앙으로 변질된 한국 교회에 대한 경고가 교인들로부터 이미 오래 전부터 가시화 되고 있지만 한국교회가 이를 애써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