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코리아 손은경 기자] 갈수록 먹을 것에 대한 인간의 욕구가 커져가는 듯 보인다. 과거 고기를 구워 먹고 과일을 따 먹던 수렵 시대와 비교해 보면 우리가 먹는 음식의 종류와 그 맛의 스펙트럼은 너무나 크게 발전해 왔다고 판단된다.
단순히 식재료의 맛을 즐기는 것에서 벗어나 어떤 소스와 함께 먹었을 때 맛있는지, 어떤 메뉴 혹은 어떤 음료와 함께 먹을 때 맛이 배가되는지를 생각하며 즐기는 이들이 늘었고 이는 ‘먹방’ 콘텐츠의 인기로 이어졌다.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콘텐츠, 숨겨진 맛집을 찾아가는 먹방 콘텐츠, 요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 등 먹방은 그 종류도 계속해서 늘어갔고 인터넷 방송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보건복지부는 지난 24일 ‘국가 비만 관리 종합 대책’을 발표하면서 폭식조장 미디어(TV, 인터넷방송 등) 광고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모니터링하겠다라는 입장을 함께 전한 바 있다.
이는 먹방을 하는 콘텐츠에 어느 정도의 제한과 규제를 두겠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현재 해당 내용을 접한 사람들은 지나친 규제라는 내용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그들은 비만율과 먹방이 연관이 있다는 실질적 증거가 없다는 점, 이미 하나의 트렌드가 되어버린 먹방이 국내외로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있는데 실질적인 규제가 큰 의미가 없다는 점, 대리만족할 수 있는 자유를 침해한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비만율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좋은 취지이나, 먹방이라는 콘텐츠가 사람들에게 주는 영향력과 그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필요한 것은 아닐까? 또 먹방에 대한 규제가 비만율을 줄이는 것과 어떻게 연관이 있는지에 대한 고민도 해봐야 할 것이다. [이뉴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