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4일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 산림에 대한 첫 건강성 진단 평가인 전국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 결과 전국 산림의 81.3%가 건강한 것으로 조사됐지만, 도시에 있는 산림은 점점 쇠약해 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전국 산림 총 1천 개의 고정 조사표본점을 대상으로 했으며 평가 항목은 수관활력도, 수관급, 형질급, 종다양성,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유효토심 등 7개이다.
연구 결과 우리 산림의 81.3%는 건강했으며 건강성이 다소 떨어지는 산림은 17.2%, 쇠약한 산림은 1.5%로 나타났으며, 평가항목별 결과를 보면 나무들의 건강 상태인 수관활력도의 경우 건강한 등급이 89.9%로 나타났고 쇠약한 등급이 0.6%로 분석됐다.
종 다양성 지수는 4.83, 최대 종 다양성 지수는 6.88, 균재성 지수는 0.7로 분석되어 종합적인 종 다양성 지수는 평균 이상으로 진단됐으며 토양 양분 상태는 적정범위를 나타냈고, 행정권역별로 보면 강원, 충북과 전남이 매우 건강한 1등급이 9∼10%로 가장 높았으며 매우 쇠약한 5등급이 1% 이하로 종합적 산림 건강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됐다.
경기, 충남, 전북은 매우 쇠약한 5등급이 5∼6%로 다른 권역보다 높게 나타나 정밀 조사를 통한 쇠약 원인 분석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으며, 도시 산림은 매우 건강한 1등급이 일반 산림의 38%로 낮았으며 매우 쇠약한 5등급이 2배로 높게 나타나는 등 이에 대한 원인 구명과 보전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과거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도시 산림 나무들의 수관활력도는 건강한 등급이 평균 2.2% 감소했고 쇠약한 등급이 평균 9.0% 증가했다. 토양 속의 유기물함량과 전질소는 생육 적정범위보다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산림청은 도시 산림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나무 생장에 방해가 되는 덩굴을 제거하고 가지치기나 솎아베기 등 집약적인 산림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고 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김선희 박사는 “건강한 산림일수록 미세먼지와 폭염 저감 효과 등 산림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더 높게 발휘할 수 있다”라며 “정기적인 산림 건강성 진단·평가를 통해 산림이 생태적으로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잘 관리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