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살면서 너무나 많은 쓰레기를 버린다. 쓰레기통에 잘 버리기도 하고 분리수거를 잘해서 버리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도, 못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많은 이들은 쓰레기통이 눈에 보일 때 다른 곳보다 우선 쓰레기통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질서를 정리하는 것은 규칙이나 법과 같은 기준이 하는 역할이다. 아무 데나 버려도 되는 쓰레기들을 한곳에 넣어 정리하자라는 규칙을 정해 놓은 것이 쓰레기통이다. 만약 쓰레기통이 없어진다면 우리는 좀 더 쉽고 생각 없이 쓰레기를 길거리 중간 어디쯤 혹은 화단, 하수구와 같은 구멍 등에 버릴 것이다.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는 지난 2015년 4월부터 여자 및 장애인 화장실을 포함한 5호선부터 8호선 내 157개 전 역에서 ‘휴지통 없는 화장실’을 운영한 바 있다. 이는 2017년 4월까지 운영을 이어오게 된다. 휴지통이 없기에 사람들은 휴지를 변기통에 넣어서 흘려보내야 하고 손을 닦은 휴지나 다른 기타 쓰레기들은 다른 곳에 비치된 쓰레기통에 버려야 한다.
이는 결국 길거리의 쓰레기통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부분에서 오는 도망책인 것이다. 쓰레기통의 유무보다는 이를 어떻게 관리하고 그 주변을 어떤 주기로 청소할 것이며 만약 쓰레기를 쓰레기통에 제대로 버리지 않았을 때 어떤 강한 처벌을 받는지에 대한 정보가 알려진다면 쓰레기통이 없어져야 할 이유는 없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쓰레기 수수료 종량제 시행지침’에 ‘도시 청결유지를 위해 건널목, 지하철 입구, 버스 및 택시 정류장, 공원 출입구 등 휴지·담배꽁초가 많이 버려진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쓰레기통 설치 확대’라는 지침이 명시돼 있다. 전문가들 역시 “쓰레기통을 없앤다는 일은 좋은 일이나, 시민의식 확대가 이어져 쓰레기를 주머니에 넣어가는 이들이 늘어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든 부분이 있을 것”이라는 말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힘든 부분을 지적한다.
무의식적으로 쓰레기를 버리고 간 적이 있을 것이다.
쓰레기통을 줄여서, 혹은 쓰레기통을 없애버려서 길거리가 깨끗해질 거라는 생각은 사실 너무 낙관론적인 생각이다. 인간은 무의식 속에서 나쁜 일을 행하기도 하고 각자의 기준이 모두 다르기에 나라적 차원에서 시민의식을 갑작스럽게 향상시키는 일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길거리에 쓰레기통이라도 있어야 그 자리에 쓰레기를 모아 놓는다.
쓰레기를 없앤다는 일은 너무나 훗날의 행해야 하는 주장이다. 대한민국은 우선 무단투기에 대한 부분을 고쳐야 한다. 쓰레기통에 무단으로 쓰레기를 버리는 것부터 단속하고 처벌하면서 시민의식을 향상시켜야 한다. 쓰레기통을 길거리에서 없앤다는 것은 우리나라 현실에 맞지 않은 조금은 너무 앞서나간 선진문화는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