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을 앞두고 야채, 계란, 라면, 빵 등의 식료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면서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휘청거리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배추 1포기 가격은 4355원으로 지난해 같은 날(2241원)보다 두 배가량 올랐다. 무 1개당 가격은 3085원으로 동일(1305원) 대비 세 배가량 급증했다.
aT는 겨울배추와 무의 경우 전년 보다 재배면적이 감소한데다 지난해 말 잦은 강우에 따른 작황 악화로 당분간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겨울 배추는 전년보다 재배면적이 2% 감소했고 생산량은 전년보다 9~12% 줄어든 23만1000톤~29만1000톤 수준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마늘(32%), 파(20%) 등 밥상 단골 재료인 야채의 가격 상승률도 20%를 넘었다. 또 최근 문제 되고 있는 계란가격은 말할 것도 없고, 식용유도 원재료인 남미산 콩의 작황불황으로 가격이 7~9% 가량 올랐다.
게다가 지난해 말 식품업계 1위 업체들이 잇따라 소비자 가격을 인상하면서 가공식품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농심은 지난달 20일부터 라면가격을 평균 5.5% 인상했다. 비슷한 시기에 하이트진로도 맥주 출고가를 6.33% 인상했으며, 앞서 11월에는 오비맥주가 카스, 프리미어OB 등 주요 품목 출고가를 평균 6% 올렸다. 국내 베이커리 업계 1위 파리바게뜨도 지난달 2일 193개 품목 가격을 평균 6.6% 인상했다
이처럼 서민들의 체감물가가 급등하고 있는데도 정부는 대책마련에 주저하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 물가 상승이 1%대에 머물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에 가격이 오른 제품의 경우 그동안 줄곧 인상하지 않았던 측면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 물가 수준이 1%대에 머물러 현재 상승추이가 소비심리에 반영되는 부분은 미미하다고 본다. 좀더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제 전문가들은 부정청탁금지법으로 계란, 야채 등 기본 식재료 상승을 물가 지표와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 경제전문가는 “계란이나 배추, 파, 마늘 등은 각종 완제품에 들어가는 기본 식재료로 이 제품들의 가격이 오르면 가격은 물론이고 체감물가 인상이 불가피해진다”며 “정부가 지표에 의존하면 악화되는 실물경제를 제대로 파악하기 힘들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