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코리아 심건호 기자] 최근 정보통신 및 과학기술 발전과 동반되는 사회 경제 전반의 변화를 일컬어 4차 산업혁명이라고 한다. 정부 및 관련 부처, 지자체에서도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고 변화에 발맞춰 제도 개혁 등을 하고자 하는 상황이다.
기업의 크기에 상관없이 새로운 변화를 맞이함에 있어 인식과 호응이 필요한데, 중소기업의 효과적인 대응은 가능할까? 이에 대해 중소기업중앙회에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인식과 대응 현황과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에 대한 평가와 과제에 대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중소기업중앙회에서는 3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내용 인지에 대한 조사를 벌였다. 4차 산업혁명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알고 있는 편’이 36.3%, ‘모르는 편’이 63.7%로 과반수 이상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정보 취득 수단은 ‘유튜브 등 인터넷 매체’가 49.5%로 갖아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언론보도’가 31.2%, ‘정부 및 공공기관 등 관계기관 홍보’가 9.2%로 나타났다.
인식하고 있는 중소기업도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전문인력 부족’과 ‘투자 대비 효과 불확실’, ‘투자자금 부족’, ‘4차 산업혁명 등 교육 부족’ 등을 이유로 꼽았다.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수준은 0단계에서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현재 대응 수준은 ‘0단계’가 63.7%, ‘1단계’는 25%, ‘2단계’가 5.7%, ‘3단계 이상’이 5.7% 순이며, 평균은 0.5단계로 조사됐다.
*전체 단계
0단계 :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관련 기술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단계
1단계 :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관련 기술들에 대해 알고 있는 단계
2단계 : 비즈니스 모델(사업전략) 구상 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변화를 고려, 경영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인력 채용 시 디지털화·스마트화 관련 능력 반영
3단계 : 제조 스마트화 시작단계.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중 사업에 필요한 분야를 활용(계획)하는 단계
4단계 : 제조 스마트화를 본격적으로 실행하는 단계. 사이버물리시스템(CPS) 성숙기 단계로 4차 산업혁명 선도기업에 해당,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단계
‘타다’ 논란과 주 52시간 근무제 반대 목소리 등의 사례를 보면 4차 산업혁명은 기존의 제도나 규제와 부딪히는 경우가 상당한 편이다.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정부의 역할에 대한 목소리를 내놓기도 한다.
지난 10월 30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대한미디어그룹 이뉴스코리아 주최로 열린 4차 산업혁명 토크콘서트에서 주강진 KCERN 수석책임연구원은 “정부가 금액적으로 4차 산업을 지원하는 것은 좋으나, 그보다 규제를 완화해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지원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중앙회 조사 결과에서도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 평가로는 ‘잘하고 있다’가 12.7%, ‘보통이다’가 35.7%, ‘부족하다’가 22.7%로 조사돼 정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중소기업이 생각하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부 정책의 문제점으로는 ‘중소기업의 현실(경영상황 등)을 고려한 정책 부재’가 7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 전략 부재’가 14.3%, ‘모호한 정책 목표(뚜렷한 목표와 가이드라인 부재)’가 13.7%, ‘부처와 기관 간 협력체계 미비’가 12.7%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4차 산업혁명을 위해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로는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산업’이 53.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투자 연구자금 관련 세제 혜택 등 지원’이 36.3%, ‘인재양성 및 근로자 재교육 지원’이 25.7%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정욱조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의 인식과 대응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운용인력, 투자역량 부족 등 중소기업의 애로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 및 사업과 4차 산업혁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가 발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혁명이 진행됨에 따라 먹거리 산업이 늘 존재해왔다. 4차 산업혁명 또한 현재 또는 미래의 먹거리 산업 그리고 국가 경쟁력 등을 위해 성공적으로 임해야 한다. 정부 및 기업, 민간 등의 상호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중소기업과 관련한 지원 및 규제 개혁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