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거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드라마와 TV 매체 등에서 방영되는 동거와 가상 결혼, 연애 등의 프로그램은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결혼은 꼭 필요하며, 반드시 해야한다고 생각하던 기존의 가치관은 필요하지만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라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이와 함께 결혼 전 동거를 통해 결혼생활에 대한 예비와 예방책을 세우려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결혼 인턴과 같은 용어도 등장하고 있다. 동거는 이제 혼인을 미리 겪어보는 결혼 인턴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신혼여행을 갔다온 뒤 이혼소송을 진행하고 황혼에도 졸혼과 이혼으로 갈라서는 시대.
결혼에 앞서 쉽게 헤어지기 싫은 이들은 함께 사는 법을 익히고자 동거를 택한다. 경험해야 결혼할 수 있다는 동거족은 결혼 전 같이 사는게 여러모로 효율적이라고 한다. 직장에 취업하기 전 인턴제도를 통해 직무와 회사의 방향성 등을 경험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라는 주장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16년 발표한 18세부터 49세까지 동거 유경험자에게 조사한 ‘비혼 동거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주택 마련과 생활비 절약 등의 경제적 이유로 동거를 택한 비율이 약 42%를 차지했다. 동거 시작 평균 연령이 20대 후반인 점을 가만한다면, 젊은이들이 경제난을 타개하려는 하나의 방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각자 자취를 하게되면 월세를 각자 내기 때문에 방을 합쳐 사는 연인의 수도 늘고 있다. 생활비는 줄이며 각종 문제를 같이 마주하고 과정을 겪다보니, 결혼 생활이 뭔지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결혼 연령도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부모 세대는 자녀가 결혼을 포기하는 것보다는 결혼을 하기위한 선택으로 동거를 결정하는 것에 대해 조금씩 마음이 열리고 있는 모습이다.
결혼을 시킨다는 입장이 아닌 결혼은 하는 것이라는 시선의 변화로, 결혼 당사자인 자녀의 선택에 대해 조언을 건네며 존중하는 부모가 늘어나는 것이다. 통계청의 50세부터 69세까지 연령대의 동거 찬성 비율은 2012년 32%에서 지난해 약 34%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사회적인 보호제도와 사람들의 인식에 의해 동거는 대부분 비공개로 진행되고 있다. 여성과 남성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존재하며, 성에 대한 인식이 보수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동거관계 등록제 등 제도를 도입해 동거 가구를 보호하고 혜택을 주자는 의견도 있다.
물론 비공개로 진행되는 동거에는 말 못할 부작용과 문제들이 존재한다. 사람과 사람의 만남이니 만큼 많은 상처를 받을 수도 있으며, 결혼에 대한 인식이 더 안좋아질 수도 있다.
새로운 세대의 문화는 계속해서 흐르고 있다. 새로운 흐름에 대해 지적해야 할 부분은 지적하고 잡아줘야 겠지만, 그들이 다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제도와 시스템 그리고 무엇보다 사회적인 인식과 배려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