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문재인 대통령은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력서에 학벌이나 학력, 출신지, 신체조건 등 차별적 요인들은 일절 기재하지 않도록 해서 명문대 출신이나 일반대 출신이나, 서울에 있는 대학 출신이나 지방대 출신이나 똑같은 조건과 출발선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전언했다.
이전부터 고용시장에서 탈스펙과 능력 중심 채용 사안은 꾸준히 거론되어왔다. 실제로 탈스펙 사안은 구직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뜨거운 감자이며 새 정부에 들어 노스펙 또는 탈스펙 채용이 채용시장의 최대 이슈로 자리매김한 상태다.
실제로 국내 중견기업 역시 역량을 중시하는 전형을 도입하여 블라인드 채용 추세를 따라가고 있음이 나타났다.
제주항공은 SNS를 통한 블라인드 채용 방식을 도입해 나이, 어학점수 등 스펙에 포함되는 조건을 배제했다. SNS 방식은 인스타그램 영상 지원을 통해 지원자들이 역량을 자랑할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도 국내 대표 전자상거래 기업 이베이코리아는 G마켓, 옥션, G9에서 근무하는 하계 인턴 채용에 탈스펙 심사를 도입했다. 이베이코리아는 서류전형 시 출신학교 등 해당 정보를 가리고 선발했다.
그간 구직자들 사이에서 출신학교, 나이 등 채용 시 거론되는 일부 사항이 불공정하다고 느껴지는 항목으로 지적되어온 바 탈스펙 채용으로 구직자들의 역량을 심도있게 평가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보다 많은 인재에게 입사 기회를 주기 위해 학벌, 외국어점수, 자격증 등 스펙을 보지 않는 ‘열린 채용’이 확산되고 있지만, 오히려 구직자 10명 중 4명은 부담이 증가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취업포털 지난해 12월 사람인이 ‘스펙 초월 채용으로 인해 취업 부담감이 줄었는지 여부’을 조사한 결과, 35.7%가 ‘오히려 늘었다’라고 답해 ‘줄었다’(14.6%)라는 응답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스펙 초월 채용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응답자 143명은 그 이유로 ‘기준이 모호한 것 같아서’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직무에 최적화된 인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입된 탈스펙 채용 방식, 이를 도입하려는 기업은 먼저 원하는 인재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 제시, 평가 기준의 투명성, 공정성 확보를 필두로 직무에 최적화된 인재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