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에 이어 살충제 계란 논란을 겪으면서 정부에서도 동물복지축산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최근 일련의 사건과 함께 공장식 축산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근본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고 약속했다. 지속적으로 공장식 축산에 대해 목소리를 내왔던 동물보호단체 카라는 지난 6일 동물복지농장주와 동물복지농장을 준비 중인 농장주 약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는 현실적으로 동물복지 농장을 운영함에 있어 직면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파악과 정책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설문이다. 조사 결과, 농장주들은 시설지원 부족, 판로 개척의 어려움 등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복지축산을 유지하기 어려운 이유를 묻는 문항에 ‘복지축산에 대한 시설지원이 없다’(51.6%)라고 응답한 이들이 가장 많았다. 또한, 복지축산물 판로개척이 어려움(46.9%), 복지축산에 대한 운영지원이 없음(40.6%), 조류독감 발발시 관행 축산과 차별성이 없음(34.4%), 복지축산 표시가 전혀 부각되지 않음(31.3%)의 항목이 뒤를 이었다.
지원이 필요한 부분으로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 차별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홍보 지원을 얘기했으며 판로 개척 지원도 함께 언급됐다. 산란계 농가를 대상으로 한 질문에는 ‘축산물 사육환경 표시제 도입’과 관련된 질문사항이 있었는데 대상 응답자 모두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현재 이뤄지고 있는 공장식 축산을 동물보호단체 측에서는 ‘학대’라고 표현한다. 동물복지농장주의 14.5%는 관행축산이 동물학대라고 생각한다고 응답했다.
카라는 “정부의 동물복지농장 확대 정책이 성공을 거두려면 현장 농장주들의 필요를 잘 파악하고 현실성과 효율성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며 “동물복지 농장의 조기 확대와 정착을 위한 농장주들의 요구사항, 즉, 동물복지농장으로의 시설 전환 자금 지원, 노하우와 교육 지원, 차별성 부각과 홍보 지원, 동물복지농장 네트워크 형성 지원 등의 방안이 치밀한 조사 연구를 통해 마련되어 실현된다면 우리나라 동물복지 농장은 충분한 확대 정착의 가능성과 여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