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브더칠드런은 16개국이 참여한 아동 삶의 질 비교조사(ISCWeB)에서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행복감이 14위로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고 여러 기준으로 봤을 때 역시 아이들이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국제 구호개발 NGO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 사회복지 연구소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행복감 국제 비교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알제리, 콜롬비아, 영국, 에스토니아, 독일, 에티오피아, 이스라엘, 폴란드 등 16개 나라에서 만 8살, 10살, 12살 5만6000명을 조사한 원자료에서 만 8살 1만7496명을 추출해 심층 분석한 것이다.
연구진은 한국 아동의 행복감과 아동 개인(자유, 외모, 여가시간에 대한 만족도), 가족 관계(주거환경, 부모와의 관계, 물질적 결핍), 학교(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성적에 대한 만족도), 지역사회(안전감, 놀이 공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봤다. 모든 항목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만 8살에게는 ‘자유’와 ‘외모’ 만족도가, 12살에게는 ‘학업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줬다.
한국교통대 사회복지학과 김선숙 교수는 “아동 자신과 관련된 요인이 8살 아동의 주관적인 행복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8살에 이미 성적에 대해 만족할수록 더 행복하다고 느끼며 그런 영향은 12살에 더 크게 나타났다”라고 말했다. 외모로 만족감을 느끼는 것도, 학업 성취도가 높아야 행복감을 느끼는 것도 주위 시선을 많이 신경 써야 하는 한국에서 태어나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남들에게 인정받고 칭찬받아야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처럼 보여 안타까움이 앞선다.
또한 컴퓨터, 옷, 자동차, 인터넷 등이 있는지 묻는 조사에서 1위로 조사됐는데도 자신이 갖고 있는 물건이나 돈에 대해 “얼마나 행복한가”를 묻는 만족도 소가 결과는 14위로 나타났다. 이 역시 물질이나 금전적인 부분에서 본질적인 행복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 비교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것은 아닌가 하는 연구진의 의견이 있었다.
이어 초등학교 3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으로 진학하면서 행복감은 더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친구 관계, 학교생활, 동네, 자기 자신 등 5개 영역 만족도(축약형 다차원적 학생 삶의 만족도 척도)만 측정하면 만 8살 13위이던 것이 중1에는 아예 꼴찌로 떨어진 것이다.
이에 대한 문제점 중 하나로 가정과 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존중받는다”고 느끼지 못한다는 점이 지적됐다. “어른들이 내 말에 귀 기울여 준다”에 대한 만족도는 13위, “우리나라 어른들은 아동의 권리를 존중한다”는 15위로 나타났다. “아동이 무슨 권리를 갖는지 안다”, “유엔 아동권리 협약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도 각각 12위, 14위에 그쳤다.
“학교 가는 것이 좋다” 16개국 중 15위…
가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안재진 교수는 “학업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아동들의 여가 및 자유 시간을 보장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고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유민상 박사는 “아이들이 행복한 사회를 만들려면 아이들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가족, 학교, 동네에서의 점진적 변화가 필요하며, 이는 모두가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